2020.11.20 08:39
대법원(주심 노태악 대법관)은 피고가 원고를 상대로 "권리금 5000만원을 배상하라"며 낸 소송(2018다252458)에서 원고패소 판결한 원심을 깨고, 지난 9월 3일 사건을 수원지방법원으로 되돌려 보냈다.
[사실관계]
피고(반소원고, 이하 ‘피고’라고 한다)는 1990. 1. 10. 무렵부터 이 사건 상가에서 음식점을 운영해 오다가, 1995. 1. 12. 이 사건 상가의 소유권을 취득하였다. 피고는 2003. 5. 6. 소외 1에게 이 사건 상가를 매도한 후 같은 해 6. 5. 소외 1로부터 이 사건 상가를 보증금 2,000만 원, 월차임 150만 원, 계약기간 2003. 6. 5.부터 1년으로 정하여 임차하였고, 이후 이 사건 임대차계약은 묵시적으로 갱신되어 왔다.
원고(반소피고, 이하 ‘원고’라고 한다)는 2015. 5. 13. 소외 1로부터 이 사건 상가를 매수하고 같은 해 5. 29.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후, 2016. 1. 무렵 피고에게 같은 해 6. 4.자로 이 사건 임대차가 종료됨을 통지하였다.
피고는 2016. 3. 9. 소외 2와 이 사건 상가에 관하여 5,000만 원의 권리금계약을 체결한 다음, 같은 해 3. 22. 원고에게 신규임차인으로 소외 2를 주선하며 임대차계약 체결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원고는 자신이 이 사건 상가에서 직접 샌드위치 가게를 운영할 계획이라는 이유로 피고의 요구를 거절하였다.
원심은 구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2018. 10. 16. 법률 제1579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상가임대차법’이라고 한다) 제10조의4(권리금 회수기회 보호 등)는 같은 법 제10조 제2항이 정한 계약갱신요구권 행사기간인 5년을 초과한 임차인에 대하여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보아, 구 상가임대차법 제10조의4가 적용됨을 전제로 한 피고의 이 사건 반소 중 손해배상청구 부분을 배척하였다. 피고는 상고. 대법원은 아래의 판결요지와 같은 이유로 이 사건을 원심법원에 되돌려 보냈다.
[판결요지]
구 상가임대차법 제10조의4의 문언과 내용, 입법 취지에 비추어 보면, 같은 법 제10조 제2항에 따라 최초의 임대차기간을 포함한 전체 임대차기간이 5년을 초과하여 임차인이 계약갱신요구권을 행사할 수 없는 경우에도 임대인은 같은 법 제10조의4 제 1항에 따른 권리금 회수기회 보호의무를 부담한다(대법원 2019. 5. 16. 선고 2017다225312, 225329 판결 참조). 또한 임대인이 스스로 영업할 계획이라는 이유만으로 임차인이 주선한 신규 임차인이 되려는 자와 임대차계약의 체결을 거절한 것에는 구 상가임대차법 제10조의4 제1항 제4호에서 정한 정당한 사유가 있다고 볼 수 없다(대법원 2019. 5. 30. 선고 2018다261124, 261131 판결 등 참조).
앞서 본 사실관계를 위 법리에 따라 살펴보면, 이 사건 상가에 관한 임대기간이 5년을 경과하여 피고가 원고에 대하여 갱신요구권을 행사할 수 없다 하더라도, 구 상가임대차법 제10조의4가 적용되므로 원고는 피고에 대하여 권리금 회수기회 보호의무를 부담한다. 원고가 자신이 이 사건 상가에서 직접 샌드위치 가게를 운영할 계획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피고가 주선한 소외 2와의 임대차계약의 체결을 거절한 데에는 정당한 사유가 있다고 볼 수 없으므로, 원고는 피고에게 권리금회수 방해를 원인으로 한 손해배상채무를 부담한다고 볼 여지가 있다.
그런데도 원심이 그 판시와 같은 이유로 임대기간이 5년을 경과하여 갱신요구권을 행사할 수 없는 임차인에 대하여는 구 상가임대차법 제10조의4가 적용되지 않는다고 보아 이 사건 반소 중 손해배상청구 부분을 배척한 데에는, 구 상가임대차법 제10조의4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고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80 | 미성년자녀 불법행위에 대한 비양육친의 손해배상책임(무)(대판) | 관리자 | 2022.04.28 | 291 |
79 | 주택임차인의 갱신요구권 적용범위(수원지판) | 관리자 | 2021.04.07 | 775 |
78 | 임차건물 소유권 상속인은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상 양수인(대판) | 관리자 | 2021.04.07 | 770 |
» | 계약갱신요구권 행사기간 초과한 임차인의 권리금회수기회 보장(대판) | 관리자 | 2020.11.20 | 866 |
76 |
육체노동자의 가동연한 65세로 상향조정(전합)
![]() | 관리자 | 2019.02.22 | 1226 |
75 | 착오송금과 부당이득반환청구(대판) | 관리자 | 2018.03.01 | 2016 |
74 | 주택임대차보호법상 우선변제권의 기준시점과 범위(대판) | 관리자 | 2017.09.06 | 1652 |
73 | 임대차외 건물부분에 대한 화재와 임차인의 손해배상 범위(전합) | 관리자 | 2017.06.01 | 1664 |
72 |
토지소유자의 토양오염책임(전합)
![]() | 관리자 | 2016.05.22 | 2102 |
71 |
산책중 달려든 개 주인폭행시 손해배상 범위(춘천지판)
![]() | 관리자 | 2016.03.29 | 2227 |
70 | 적법한 건물신축과 일조권침해(서울지판) | 관리자 | 2015.12.23 | 2443 |
69 | 우면산 산사태 사방공사와 자연대재해대책법(서울지판) | 관리자 | 2015.12.08 | 2523 |
68 |
세금체납 압류부동산 매수인이 낸 세금, 유효(대판)
![]() | 관리자 | 2015.12.01 | 2485 |
67 | 주민등록 담당공무원의 호수누락 기재와 대항력 | 관리자 | 2015.11.18 | 2445 |
66 | 경업금지 약정의 유무효 판단기준(서울중앙지판) | 관리자 | 2015.11.02 | 2308 |
65 | 고속도로 방음벽 설치주체(대판) | 관리자 | 2015.10.18 | 2430 |
64 | 계약금 일부교부와 해약금판단기준(대판) | 관리자 | 2015.05.03 | 2597 |
63 | 임대차계약서상 용도란 기재의 의미(서울중앙지판0 | 관리자 | 2015.04.24 | 3006 |
62 | 실패한 성형수술과 수술비반환(서울지판) | 관리자 | 2015.01.01 | 2928 |
61 | 보험해약환급금과 설명의무(대판) | 관리자 | 2014.11.16 | 326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