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의사가 임플란트 시술을 하면서 환자에게 세균 감염 위험성을 제대로 설명해주지 않았다면 환자가 실명한 경우 배상책임을 져야 한다.


서울중앙지법 민사42단독 강희석 판사는 지난달 6일 임플란트 시술을 받고 세균감염으로 한쪽 눈을 실명한 윤모(79)씨가 치과의사 나모씨와 나씨가 보험에 가입한 (주)삼성화재해상보험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소송(2011가단428735)에서 "나씨와 보험회사는 연대해서 4390여만원을 배상하라"며 원고일부승소 판결했다.


[사안의 개요와 재판진행]
만성 치주염으로 잇몸이 붓고 피가 나는데다 나이 탓으로 이가 흔들리자 윤모씨는 나모씨가 운영하는 치과병원에서 앞니 두 개를 교체하는 임플란트 시술을 받았다. 수술 이후 윤모씨는 치통과 두통을 느끼기 시작했지만, 나모씨는 임플란트 수술 후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통증이라며 윤모씨를 안심시키고 진통제를 처방했다. 그러나 윤모씨의 상태는 호전되지 않았고 열이 심하게 나고 오한까지 느끼다 오른쪽 눈을 실명했다. 김모씨는 임플란트 시술로 인한 세균감염이 실명의 원인이라는 사실을 알고 2011년 11월 소송을 냈다. 


[판결이유요지]
 윤모씨가 감염된 클렙시엘라균은 고령자에게 감염 가능성이 높아 건강 상태를 잘 살펴 감염 가능성이 없을 때만 시술해야 한다. 외과 시술인 임플란트는 다양한 후유증과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나씨에게 감염에 따른 합병증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하지 않은 책임이 있다.


 ☞[참고할 대법원판례]
○의사가 진찰이나 치료 등의 의료행위를 할 때에는 사람의 생명·신체·건강을 관리하는 업무의 성질에 비추어 환자의 구체적인 증상이나 상황에 따라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최선의 조치를 취하여야 할 주의의무가 있다. 의사의 이와 같은 주의의무는 의료행위를 할 당시 의료기관 등 임상의학 분야에서 실천되고 있는 의료행위의 수준을 기준으로 삼되 그 의료수준은 통상의 의사에게 의료행위 당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고 또 시인되고 있는 이른바 의학상식을 뜻하므로, 진료환경과 조건, 의료행위의 특수성 등을 고려하여 규범적인 수준으로 파악하여야 한다(대법원 2011. 11. 10. 선고 2009다45146 판결).
○환자는 헌법 제10조에서 규정한 개인의 인격권과 행복추구권을 근거로 생명과 신체의 기능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지에 대하여 스스로 결정하고 의료행위를 선택할 권리를 갖는다. 따라서 환자는 자신의 결정에 따라 의료진이 권유하는 진료를 동의하거나 거절할 권리가 있다. 그런데 의학지식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실질적인 자기결정을 하기 어려우므로, 의료진은 환자의 증상, 진료의 내용과 필요성, 예상되는 위험성과 함께 진료를 받지 않을 경우에 예상되는 위험성 등 합리적인 사람이 진료를 동의하거나 거절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사항을 설명할 의무가 있다(대법원 2010. 3. 25. 선고 2009다95714 판결).
    *출처 : 법률신문 2013.3.1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0 공동주택명칭이 상이한 경우, 집행관의 현황조사 명칭기준 file 관리자 2010.05.19 5332
59 주택임차보증금반환채권만 양수한 자, 우선변제권행사 불가 관리자 2010.06.01 6283
58 진료기록 변조와 의료과실 입증 여부 file 관리자 2010.07.13 7005
57 지역축제 입점업주의 불법행위와 지자체의 배상책임 file 관리자 2010.08.17 6100
56 승인 안난 대형할인매장 입점광고와 손해배상 file 관리자 2010.09.21 6475
55 부정경쟁행위도 민법상 금지청구 대상 file 관리자 2010.09.21 6424
54 도시관리계획변경과 환매권행사 관리자 2010.10.26 6486
53 무고죄와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 진행시점(대판) file 관리자 2010.12.18 7145
52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 도입 file 관리자 2011.03.16 6107
51 차량화재와 주차장관리자의 책임 관리자 2011.03.20 5534
50 빙판길 사고와 지방도로의 설치관리상의 하자 범위 file 관리자 2011.03.31 6520
49 공사현장동료와 다투다 부상, 업무상재해(대판) file 관리자 2011.08.24 4151
48 토지매매사기와 부당이득반환주체(파기환송) 관리자 2011.09.14 4787
47 의료손해배상 책임보험계약과 피보험자 범위 file 관리자 2011.10.02 4366
46 한의사의 설명의무 관리자 2011.10.18 4464
45 토지매매사기와 부당이득반환주체(파기환송) 관리자 2011.11.11 4343
44 은행부지점장의 사기와 사용자배상책임(대판) 관리자 2011.12.09 4278
43 공정거래위원회,변호사 사무소 불공정 약관 시정조치 file 관리자 2012.05.01 3792
42 사업계획승인취소와 증여금 반환 가부(서울고판) 관리자 2012.06.10 3794
41 임대차보증금과 차임연체관련 소송비용 공제가부(대판) 관리자 2012.10.05 362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