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공인중개사가 계약을 중개하며 임차인에게 “근저당권을 말소해주겠다”고 했다가 보증금을 잃게 했다면 손해를 배상해야 한다. 그러나 임차인에게도 과실이 있으므로 공인중개사의 손해배상범위를 60%로 제한한다.


부산지법 민사단독 박무영 판사는 지난달 25일 A씨가 B씨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청구 소송(2011가단79391)에서 “B씨는 A씨에게 1440여만원을 지급하라”며 원고 일부 승소 판결을 내렸다.



[사안의 개요와 재판진행]
2010년 5월 A씨는 부산 남구에서 오피스텔을 빌리려고 근처 부동산에 방문했다. 공인중개사 B씨는 마침 좋은 오피스텔이 있는데 근저당권이 설정돼 싸게 나왔다며 서둘러 임대차 계약을 체결할 것을 권했다. 근저당권이 마음에 걸린 A씨가 계약을 주저하자 B씨는 “보증금을 먼저 내면 집주인이 근저당권을 말소해주겠다고 했다”며 설득했다. B씨는 임대차계약서에 자필로 ‘임대인은 전세권 설정에 동의하고 선순위 근저당권은 말소해지 한다’라는 문구까지 써줬다. 안심한 A씨는 계약을 맺고 다음날 바로 보증금 5000만원을 모두 집주인에게 냈다.
문제는 그해 9월 발생했다. 말소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던 선순위저당권이 실행돼 오피스텔이 경매에 들어간 것이다. A씨는 5000만원 중 절반가량인 2590만여원만 돌려받았다. 4개월만에 살 곳도 잃고 돈도 잃게 된 A씨는 “B씨가 책임지고 근저당권을 말소해주겠다고 약속해 계약을 체결했다”며 소송을 냈다.



[판결이유요지]
 B씨는 A씨로 하여금 근저당권이 문제없이 말소될 것이라고 착각할 여지를 만들어 손해를 입혔다. B씨에게는 공인중개사로서 보증금 지급과 근저당권 말소를 동시이행하도록 권고하는 등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치를 권고할 책임이 있다.
 그러나 A씨가 계약을 체결하며 당시 선순위 근저당권이 설정된 사실을 알고 있었으므로 공인중개사의 중개행위에만 의지할 것이 아니라 스스로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수 도 있다는 위험성을 신중하게 고려했어야 한다. A씨의 과실이 손해의 발생과 확대의 중요한 원인이 되었으므로 손해배상금액 비율은 60%로 제한한다. 
*출처 : 법률신문 2013. 3. 2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 귀속재산 매각과 소유권이전시기(전합) 관리자 2009.01.30 6615
29 이명으로 중복된 소유권보존등기와 후등기의 효력 등(전합) 관리자 2009.01.30 5684
28 진정한 등기명의를 회복하는 방법(전합) 관리자 2009.01.30 5792
27 매수인의 부동산 점유와 소유권이전등기 청구권의 소멸시효 관리자 2009.01.30 6567
26 중복된 소유권보존등기의 효력 관리자 2009.01.30 5656
25 등기신청기재사항과 등기관의 직권말소 가부 관리자 2009.01.30 6469
24 가등기의 가등기 관리자 2009.01.30 6607
23 소유권이전청구권 보전가등기와 법률관계의 추정여부 관리자 2009.01.30 6829
22 본등기전 가등기의 효력 관리자 2009.01.30 6490
21 가등기에 기한 본등기 절차 관리자 2009.01.23 7376
20 가등기의 본등기 순위 보전의 효력의 의미 관리자 2009.01.23 7389
19 등기의 공신력 부인 관리자 2009.01.23 7149
18 등기의 신뢰와 무과실 점유 관리자 2009.01.23 7431
17 등기의 추정력의 번복 관리자 2009.01.23 7529
16 등기의 추정력의 범위 관리자 2009.01.23 8683
15 등기의 추정력의 본질 관리자 2009.01.23 7054
14 점유자의 권리추정규정과 부동산물권 관리자 2009.01.21 7358
13 점유취득시효기간의 만료와 등기청구권 관리자 2009.01.21 7062
12 실체관계와 등기의 불일치와 등기청구권의 법적 성격 관리자 2009.01.21 7499
11 부동산 등기청구권의 법적 성격과 소멸시효 관리자 2009.01.21 669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